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(더불어민주당 간사·충남 천안을)
과수화상병, 2015년 최초 발생 이후 지속 확산 중 … 
손실보상금만 367억에 달해 농진청의 주먹구구식 예찰·방제 점검체계 감사원 감사로 인해 수면위로 드러나
<정치부=정완태 기자>  ‘과수 구제역’이라는 불리는 과수화상병 예찰과 방제를 책임지고 있는 농촌진흥청(이하 농진청)의 점검체계가 감사원 감사를 통해 그 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. 농진청의 안일한 점검체계가 과수화상병의 확산을 불러온 만큼, 제도개선과 예찰 및 방제업무 실시여부에 대한 현장점검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.
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(더불어민주당 간사·충남 천안을)이 농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<과수화상병 발생 현황>에 따르면, 과수화상병이 최초 발생한 2015년 43농가, 42.9ha에서 지난해 67농가, 48.2ha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[표1] 이에 따른 손실보상금 또한 2015년 87억에서 2018년 205억으로 증가했으며, 최근 4년간 총 367억 가량이 지급됐다. [표2]
과수화상병 의심신고는 2016년 43건에서 지난해 106건으로 2배 이상 증가하고 있지만, 미발생 지역에 대한 농진청의 과수화상병 예찰·방제 업무는 안일하게 운영되어 왔다. 농진청이 수립한 「2018년 과수화상병 및 가지검은마름병 예찰·방제사업 지침」에 따르면 발생지역 및 인근지역은 농진청이 지자체와 함께 연 3회(동계 1회, 개화기 2회) 예방약제를 살포하고, 미발생지역은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연 1회(동계 1회)만 살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.
발생지역의 과수농가는 모두 지침에 맞게 방제를 실시했지만, 연 1회 반드시 방제가 필요한 미발생지역의 경우 과수 농가 5만 2,868호 중 방제를 실시한 농가는 3만 8,346호로 약 70%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. 특히 미발생지역 과수 농가의 약 20%가 분포한 경상북도의 방제율은 43.6%(10,278호/24,134호)로 절반도 안 돼 매우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. 심지어 대구의 경우 235농가 중 단 한곳도 방제를 실시하지 않았다. [표3]
심지어 농진청은 2016년 대전, 2017년 충남과 세종의 경우 재배농가수 보다 방제완료 농가수가 더 많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등 그 동안 과수화상병 미발생 지역의 방제실적을 허술하게 관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.
문제는 방제뿐만이 아니라, 예찰에도 발생했다. 지침에 따르면 농진청은 발생지역의 경우 지자체와 함께 연 4회, 그리고 미발생지역은 모든 시군에서 자체적으로 과수농가를 대상으로 연 2회 전수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관리대장을 작성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. 그러나 최근 감사원 감사 결과에서 영주시 공무원이 허위로 조사 실적을 보고한 사실이 적발되는 등 예찰 또한 허술하게 점검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.
박완주 의원은 “과수화상병의 확산은 농진청이 그 동안 예찰·방제 업무를 소홀히 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”고 지적하며 “이러한 결과는 그 동안 농진청의 점검체계가 현장이 아닌, 각 지자체가 제출하는 공문에만 의존했기 때문”이라고 꼬집었다.
이어 박 의원은 “농진청은 지침 개정 등을 포함한 제도개선, 그리고 예찰·방제업무를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는 직접 현장 점검에 나서는 등 하루 빨리 개선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”이라고 덧붙였다.
정완태 과학전문기자/박사
[표1] 과수화상병 발생 현황(‘15∼’18)
| 
			 구 분 
			 | 
			
			 발 생 
			 | 
		||
| 
			 농 가 
			 | 
			
			 면적(ha) 
			 | 
		||
| 
			 합 계 
			 | 
			
			 160 
			 | 
			
			 128.9 
			 | 
		|
| 
			 ‘15년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43 
			 | 
			
			 42.9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32 
			 | 
			
			 29.6 
			 | 
		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10 
			 | 
			
			 12.5 
			 | 
		|
| 
			 제천 
			 | 
			
			 1 
			 | 
			
			 0.8 
			 | 
		|
| 
			 ‘16년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17 
			 | 
			
			 15.1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13 
			 | 
			
			 10.8 
			 | 
		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4 
			 | 
			
			 4.3 
			 | 
		|
| 
			 ‘17년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33 
			 | 
			
			 22.7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26 
			 | 
			
			 17.2 
			 | 
		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7 
			 | 
			
			 5.5 
			 | 
		|
| 
			 ‘18년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67 
			 | 
			
			 48.2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16 
			 | 
			
			 8.2 
			 | 
		|
| 
			 평창 
			 | 
			
			 5 
			 | 
			
			 3.6 
			 | 
		|
| 
			 원주 
			 | 
			
			 2 
			 | 
			
			 1.7 
			 | 
		|
| 
			 제천 
			 | 
			
			 32 
			 | 
			
			 27.7 
			 | 
		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9 
			 | 
			
			 5.5 
			 | 
		|
| 
			 충주 
			 | 
			
			 3 
			 | 
			
			 1.5 
			 | 
		|
*출처 : 농촌진흥청
[표2] 과수화상병 매몰 및 손실보상금 현황(‘15∼’18)
| 
			 구 분 
			 | 
			
			 품 종 
			 | 
			
			 방제(매몰) 
			 | 
			
			 손실보상금* 
			(백만원) 
			 | 
		||
| 
			 농가 
			(건) 
			 | 
			
			 면적 
			(ha) 
			 | 
		||||
| 
			 합계 
			 | 
			
			 배, 사과 
			 | 
			
			 290 
			 | 
			
			 191.5 
			 | 
			
			 36,774 
			 | 
		|
| 
			 ‘15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| 
			
			 68 
			 | 
			
			 59.9 
			 | 
			
			 8,706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배,사과 
			 | 
			
			 43 
			 | 
			
			 38.1 
			 | 
		|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배 
			 | 
			
			 23 
			 | 
			
			 20.8 
			 | 
		||
| 
			 제천 
			 | 
			
			 사과 
			 | 
			
			 2 
			 | 
			
			 1.0 
			 | 
		||
| 
			 ‘16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| 
			
			 32 
			 | 
			
			 19.7 
			 | 
			
			 2,996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배, 사과 
			 | 
			
			 22 
			 | 
			
			 14.6 
			 | 
		|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배 
			 | 
			
			 10 
			 | 
			
			 5.1 
			 | 
		||
| 
			 ‘17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| 
			
			 55 
			 | 
			
			 31.7 
			 | 
			
			 4,526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배, 사과 
			 | 
			
			 43 
			 | 
			
			 24.0 
			 | 
		|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배, 사과 
			 | 
			
			 12 
			 | 
			
			 7.7 
			 | 
		||
| 
			 ‘18 
			 | 
			
			 소계 
			 | 
			
			 | 
			
			 135 
			 | 
			
			 80.2 
			 | 
			
			 20,546 
			 | 
		
| 
			 안성 
			 | 
			
			 배, 사과 
			 | 
			
			 39 
			 | 
			
			 16.3 
			 | 
		||
| 
			 평창 
			 | 
			
			 사과 
			 | 
			
			 10 
			 | 
			
			 5.2 
			 | 
		||
| 
			 원주 
			 | 
			
			 사과 
			 | 
			
			 2 
			 | 
			
			 1.7 
			 | 
		||
| 
			 제천 
			 | 
			
			 사과 
			 | 
			
			 61 
			 | 
			
			 47.1 
			 | 
		||
| 
			 천안 
			 | 
			
			 배, 사과 
			 | 
			
			 10 
			 | 
			
			 5.9 
			 | 
		||
| 
			 충주 
			 | 
			
			 사과 
			 | 
			
			 13 
			 | 
			
			 4.0 
			 | 
		||
*출처 : 농촌진흥청
[표3] 미발생지역 약제방제 실시현황
| 
			 지역 
			 | 
			
			 2016 
			 | 
			
			 2017 
			 | 
			
			 2018 
			 | 
		|||
| 
			 재배 
			농가수 
			 | 
			
			 방제 
			농가수 
			 | 
			
			 재배 
			농가수 
			 | 
			
			 방제 
			농가수 
			 | 
			
			 재배 
			농가수 
			 | 
			
			 방제 
			농가수 
			 | 
		|
| 
			 계 
			 | 
			
			 57,670 
			 | 
			
			 32,917 
			 | 
			
			 56,411 
			 | 
			
			 36050 
			 | 
			
			 52,868 
			 | 
			
			 38346 
			 | 
		
| 
			 경기도 
			 | 
			
			 3,627 
			 | 
			
			 3,163 
			 | 
			
			 3,515 
			 | 
			
			 3,277 
			 | 
			
			 3,611 
			 | 
			
			 3,600 
			 | 
		
| 
			 강원도 
			 | 
			
			 1,522 
			 | 
			
			 1,358 
			 | 
			
			 1,707 
			 | 
			
			 1,709 
			 | 
			
			 1,895 
			 | 
			
			 1,895 
			 | 
		
| 
			 충청북도 
			 | 
			
			 5,042 
			 | 
			
			 5,042 
			 | 
			
			 5,222 
			 | 
			
			 5,222 
			 | 
			
			 5,562 
			 | 
			
			 5,416 
			 | 
		
| 
			 충청남도 
			 | 
			
			 5,360 
			 | 
			
			 5,153 
			 | 
			
			 3,965 
			 | 
			
			 4,512 
			 | 
			
			 3,668 
			 | 
			
			 3,668 
			 | 
		
| 
			 전라북도 
			 | 
			
			 3,053 
			 | 
			
			 3,053 
			 | 
			
			 3,150 
			 | 
			
			 3,150 
			 | 
			
			 3,028 
			 | 
			
			 3,028 
			 | 
		
| 
			 전라남도 
			 | 
			
			 3,821 
			 | 
			
			 3,306 
			 | 
			
			 3,537 
			 | 
			
			 3,534 
			 | 
			
			 3,802 
			 | 
			
			 3,545 
			 | 
		
| 
			 경상북도 
			 | 
			
			 27,791 
			 | 
			
			 7,311 
			 | 
			
			 28,082 
			 | 
			
			 9,068 
			 | 
			
			 24,134 
			 | 
			
			 10,278 
			 | 
		
| 
			 경상남도 
			 | 
			
			 5,071 
			 | 
			
			 2,892 
			 | 
			
			 4,969 
			 | 
			
			 4,740 
			 | 
			
			 4,998 
			 | 
			
			 4,981 
			 | 
		
| 
			 제주도 
			 | 
			
			 1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- 
			 | 
		
| 
			 서울 
			 | 
			
			 62 
			 | 
			
			 12 
			 | 
			
			 62 
			 | 
			
			 62 
			 | 
			
			 62 
			 | 
			
			 62 
			 | 
		
| 
			 부산 
			 | 
			
			 67 
			 | 
			
			 69 
			 | 
			
			 67 
			 | 
			
			 67 
			 | 
			
			 52 
			 | 
			
			 52 
			 | 
		
| 
			 인천 
			 | 
			
			 221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116 
			 | 
			
			 116 
			 | 
			
			 72 
			 | 
			
			 72 
			 | 
		
| 
			 대구 
			 | 
			
			 263 
			 | 
			
			 263 
			 | 
			
			 263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235 
			 | 
			
			 - 
			 | 
		
| 
			 대전 
			 | 
			
			 159 
			 | 
			
			 211 
			 | 
			
			 173 
			 | 
			
			 173 
			 | 
			
			 174 
			 | 
			
			 174 
			 | 
		
| 
			 광주 
			 | 
			
			 15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15 
			 | 
			
			 15 
			 | 
			
			 16 
			 | 
			
			 16 
			 | 
		
| 
			 울산 
			 | 
			
			 1,189 
			 | 
			
			 710 
			 | 
			
			 1,189 
			 | 
			
			 - 
			 | 
			
			 1,189 
			 | 
			
			 1,189 
			 | 
		
| 
			 세종 
			 | 
			
			 406 
			 | 
			
			 374 
			 | 
			
			 379 
			 | 
			
			 405 
			 | 
			
			 370 
			 | 
			
			 370 
			 | 
		
*출처 : 농촌진흥청
